목차
투명 페트병과 유색 페트병, 배달 용기와 요구르트병을 함께 버리시나요? 이제는 재질에 따라 나눠서 버려야 할 때! PET, PP, PS 등 알쏭달쏭한 플라스틱 재질별 특징과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플라스틱 분리배출, 이제는 우리 모두에게 익숙한 습관이죠. 하지만 열심히 분리해서 버린 플라스틱 중 상당수가 재활용되지 못하고 소각되거나 매립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이 섞여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플라스틱 제품 바닥에 숨어있는 삼각형 표시의 비밀을 파헤치고, 가장 대표적인 플라스틱인 PET, PP, PS를 중심으로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ET(페트): 투명할수록 가치가 높아요 💧
PET 또는 PETE로 표기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플라스틱입니다. 투명하고 가벼우며 강도가 높아 음료수병이나 생수병에 주로 사용됩니다.
💡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은 필수!
투명 페트병은 고품질의 재활용 원료로, 옷을 만드는 섬유나 새로운 페트병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색 페트병이나 다른 플라스틱과 섞이면 가치가 크게 떨어져요. 이 때문에 2021년부터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이 의무화되었습니다.
투명 페트병은 고품질의 재활용 원료로, 옷을 만드는 섬유나 새로운 페트병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색 페트병이나 다른 플라스틱과 섞이면 가치가 크게 떨어져요. 이 때문에 2021년부터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이 의무화되었습니다.
- 대표 제품: 생수병, 투명 음료수병
- 배출 방법: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헹군다.
- 겉면의 라벨(비닐)을 완전히 제거한다.
- 찌그러뜨려 부피를 줄이고 뚜껑을 닫아 배출한다.
- 아파트나 지정된 장소의 '투명 페트병 전용 수거함'에 버린다.
PP(폴리프로필렌): 우리 일상 가장 가까이 📦
PP는 가볍고 내구성이 좋으며, 특히 **내열성이 강해** 뜨거운 음식을 담는 용기에 널리 사용됩니다. 배달음식 용기나 반찬통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재질이죠.
- 대표 제품: 배달 용기, 반찬통, 컵라면 용기 뚜껑, 자동차 내장재
- 배출 방법: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헹군다. (음식물, 기름기 등을 깨끗이 제거하는 것이 핵심!)
- 부착된 비닐이나 스티커가 있다면 제거한다.
- 다른 재질의 뚜껑(예: PS)과 분리하여 배출한다.
- 일반 플라스틱 수거함에 배출한다.
PS(폴리스티렌): 가볍지만 재활용은 까다롭게 🍦
PS는 가볍고 성형하기 쉬우며 단열성이 좋아 일회용 요구르트병이나 컵라면 용기, 장난감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가볍고 잘 부서지는 특성 때문에 재활용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은 재질이기도 합니다.
⚠️ 주의: 오염된 PS는 일반쓰레기!
특히 컵라면 용기처럼 음식물에 오염된 PS 제품은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빨간 국물이 스며든 컵라면 용기는 아무리 헹궈도 재활용이 어려우니, 반드시 일반 쓰레기(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특히 컵라면 용기처럼 음식물에 오염된 PS 제품은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빨간 국물이 스며든 컵라면 용기는 아무리 헹궈도 재활용이 어려우니, 반드시 일반 쓰레기(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 대표 제품: 요구르트병, 일회용 컵 뚜껑, 컵라면 용기, 장난감
- 배출 방법: 오염되지 않은 제품에 한해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헹군 뒤 플라스틱 수거함에 배출합니다.
기타 플라스틱 (HDPE, LDPE, OTHER) 🧐
재질 | 특징 및 대표 제품 |
---|---|
HDPE | 단단하고 내화학성이 강함. (샴푸통, 세제통, 장난감 등) |
LDPE | 유연하고 부드러움. (비닐봉지, 필름, 포장재 등) |
OTHER | 두 가지 이상의 플라스틱이 섞여 있거나, 위 6종 외의 플라스틱. (햇반 용기, 칫솔 등) |
HDPE와 LDPE는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OTHER'로 표시된 제품은 여러 재질이 섞여 있어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
Q: 플라스틱 뚜껑은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A: 뚜껑과 몸체의 재질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페트병 뚜껑(주로 HDPE 또는 PP)은 닫아서 배출하면 재활용 공정에서 분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른 용기의 경우 재질이 다르면 분리해서 버리는 것이 원칙입니다.
Q: 칫솔이나 장난감도 플라스틱인데 재활용이 안 되나요?
A: 네, 대부분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칫솔은 칫솔모, 손잡이 등 여러 재질이 섞여 있고, 장난감 역시 복합 재질인 경우가 많아 'OTHER'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Q: 분리배출 표시가 없는 플라스틱은 어떻게 하나요?
A: 분리배출 표시가 없는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어려운 복합 재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헷갈릴 때는 재활용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
Tags:
everyday life